서브 비주얼

사랑과 정성을 다하는 동서병원

언론보도

경남신문-정신건강


출처 : 경남신문(http://www.knnews.co.kr)

원본보기

심리클리닉 - 정신건강

WHO(세계보건기구)에서는 신체적으로 건강할 뿐 아니라 정신적으로도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상태를 ‘건강’이라 규정하고 있다. 여기서 우리는 ‘정신’이 무엇이며 정신 건강이 무엇인지 짚어볼 필요가 있다. 우리 몸에는 오장육부가 있듯이 정신에는 세 가지 중요한 요소가 있다.

첫째는 사고(思考), 즉 생각이다. 만일 생각이 현실을 벗어나 평상 수준을 일탈하게 되면 사실이 아닌 것을 사실로 생각하게 되고 사실인 것을 사실이 아닌 것으로 생각하게 된다. 소위 망상(妄想)인 것이다. 파스칼은 ‘인간은 생각하는 갈대’라 했다. 이는 현실이라는 바람이 부는 곳으로 생각이 움직여야 한다는 뜻이리라.

현실에 부합하는 생각을 갖는 사람이 정신이 건강하다는 말인 것이다.

둘째로 정신의 중요한 요소는 정서(情緖)다. 감정과 기분이 조화를 이룰 때 정서적으로 안정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감정과 기분의 조화가 깨어졌을 때 여러 가지 정신적 증상을 보이게 된다. 기분이 평상 수준을 넘어서면 사고의 비약, 정신운동 항진 등의 증상을 보이게 되고 결국 조증(燥症)이라는 병상을 갖게 된다. 반대로 기분이 평상 수준 이하로 떨어져 의욕 상실, 흥미감 결여, 정신운동 저하를 보이면 우울증이요, 조증과 우울증이 교차되면 조울증(繰鬱症)이라는 정신병인 것이다.

셋째로 행태(行態)이다. 사람은 위에 말한 생각의 내용과 이에 반응하는 정서에 따라 행동하고 태도를 취하며 표정을 갖게 되고 말을 하게 된다. 이런 행태 기능이 적절하게 구사된다면 정신이 건강한 상태라고 하겠지만 평상 수준을 벗어나 행동과 태도와 표정과 말을 하게 된다면 우리는 이상하다고 한다.

어린 아이가 대상이 되는 기형적 성폭행, 사망 원인 4위로 부각된 자살, 자꾸 늘어만 가는 술 중독과 반사회적 인격, 인구의 2%에 육박하는 정신병 유병률, 청소년 비행, 이혼 등 이 모든 문제들이 이 시대의 정신병리 현상들이다. 이런 현상들이 왜 자꾸 늘어만 가는 것일까? 단적으로 말해서 정신 건강의 괴멸로 인해 오는 현상들이다.

지금 우리 아이들은 어떻게 교육되며 양육되고 있는지 엄숙한 자문을 해보자. 출세만을 위한 아이들을 만들고 있는 부모와 학교와 당국은 이 아이들이 어른이 되어 세상을 주도할 때 세상이 어떻게 될 것인지 추이할 수 있을 것이고 지금의 사회 병리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 개체가 성장 과정에서, 그 시기가 아니면 경험하고 체험할 수 없는 시기를 결정적 시기라 하는데 이 시기에 경험하고 체험하고 성공하고 실패하고 동일시함으로 바람직한 자아와 정체성이 생기도록 해야 할 것이다.

우리라는 전체 속에 자기를 두도록 양육함도 중요하다. 자기와 사회적 집단의식이 다르다고 배타하는 인격은 분명 인격장애의 성향을 갖는다. 남과 다르게 키운다고 특별하고 유난스레 키운 아이는 바람직한 인격이 되는 게 아니라 유별난 인격이 되는 것이다. 유별난 인격은 병적 소인을 갖게 될 우려가 많다.

이종욱(마산 동서병원 진료부원장)



Copyright ⓒ 경남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입력 : 2009년 11월 09일 월요일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10 경남도민일보-관절염엔 등산보다 평지걷기 관리자 2009.09.21 1,239
9 경남도민일보-퇴행성 관절염이란 관리자 2009.09.21 1,158
8 경남도민일보-파킨슨병의 원인과 치료 관리자 2009.09.19 1,442
7 경남도민일보-이정구 동서병원장 취임 관리자 2009.09.19 1,200
6 경남도민일보-만성 부비동염? 아하, 축농증! 관리자 2009.09.17 1,298
5 경남신문-기능성 위장장애 관리자 2009.09.17 1,263
4 경남신문-경남메세나협의회 첫 소식지 발간 관리자 2009.09.17 1,203
3 경남도민일보-한사랑 나눔캠페인에 동서·청아병원 참여 관리자 2009.09.17 1,134
2 경향신문-내집같이 친절한 환자중심 병원 관리자 2009.09.17 1,194
1 경남신문-파킨슨병 관리자 2009.09.16 1,224